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親日규명위 친일인사 704명 추가 발표(종합)

송고시간2009-11-27 17:09

親日규명위 친일인사 704명 추가 발표(종합)
1천5명 이름 실린 최종 보고서 발간
박정희ㆍ장지연ㆍ홍난파는 제외…규명위 활동 종료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친일ㆍ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는 27일 일제 강점 막바지(1937∼1945)에 친일 행각이 확인된 김성수 보성전문 교장과 소설가 김동인 등 704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이번에 나온 명단은 교육ㆍ학술ㆍ예술ㆍ언론 등 각 분야의 유력 인사들을 대거 포함함으로써 최근 민간단체인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과 함께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규명위는 강점 초기의 무력 탄압과 3.1운동 이후의 회유 통치 등 식민지 정책의 변화를 기준으로 일제 강점기를 세 부분으로 나눠 친일 행위를 규명했다.

규명위는 1기(1904∼1919년)와 2기(1919∼1937년)에 활동한 친일 인사 301명을 이미 발표했다.

3기에는 일제가 전시 수탈을 강화하고 조선 문화 말살 정책을 시작한 탓에 반민족 행위자의 수가 다른 시기보다 훨씬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3기의 주요 등재 인물은 방응모(조광 편집인), 백낙준(연희대학 총장), 이상협(매일신보 발행인), 최남선ㆍ노천명ㆍ모윤숙ㆍ서정주ㆍ주요한(시인), 김기진ㆍ이광수ㆍ정비석(소설가), 유진오(전 고려대 총장), 김기창(화가), 현제명(작곡가) 등이다.

규명위는 애초 작곡가 홍난파와 삽화가 정현웅도 기재할 예정이었으나 법원의 '효력정지' 결정이 떨어지고 유족의 이의 신청이 수용되면서 이들을 최종 명단에서 뺐다.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박정희 전 대통령과 장지연 매일신보 주필, 장면 전 국무총리 등은 아예 발표 대상에서 제외됐다.

국가기관인 규명위는 친일행위를 정한 특별법 조항에 근거해 사전을 편찬한 민족문제연구소보다 더 엄격한 잣대로 반민족 인사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성대경(77)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 사례는 만주국 군관으로 활동했다는 점만 확인될 뿐 (친일ㆍ반민족) 행위에 대한 사료는 확보하지 못했다"며 "친일인명사전과 이번 명단은 다른 기준에 따라 만들어진 별개의 성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1ㆍ2기 친일인사 301명과 이번 3기 명단을 합쳐 모두 1천5명의 인명이 실린 2만1천여 쪽, 25권 분량의 최종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는 각 인물의 선정 기준과 주요 친일 행적이 기록되고 조사후보 대상을 어떻게 정했는지와 당사자 측의 이의 신청을 심의한 경위 등이 실린다.

2005년 4년 한시기구로 출범한 위원회는 이 보고서와 별도의 사료집을 각 대학과 공공 도서관 등에 배포하는 것을 끝으로 30일 모든 활동을 종료한다.

tae@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