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부정확했던 소쇄원 유래·백석동천 소유자 확인됐다

송고시간2021-09-02 10:02

문화재청, 명승 별서정원 11곳 역사성 검토 결과 공개

거창 '수승대'는 본래 명칭 '수송대'로 변경하기로

담양 소쇄원
담양 소쇄원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전남 담양의 아름다운 정원인 소쇄원(瀟灑園)은 양산보(1503∼1557)가 스승 조광조 유배 이후 낙향해 은둔하며 조성했다.

정원 명칭인 '소쇄'(瀟灑)는 '깨끗하고 시원하다'는 뜻으로, 그동안 양산보 호인 '소쇄옹'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문헌을 살펴본 결과, 담양 출신 인물인 면앙정 송순(1493∼1582)이 지어준 이름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문화재청은 성북구 성락원의 부실 고증 논란 이후 진행 중인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별서정원의 역사성을 검토해 소쇄원과 서울 백석동천을 비롯한 11곳에서 유래, 소유자, 변화 과정 등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별서(別墅)는 교외에 따로 지은 집으로, 성락원은 실존하지도 않은 인물이 소유했다는 잘못된 사실이 오랫동안 수정되지 않아 논란이 됐다. 이에 문화재청은 성락원의 명승 지정을 해제한 뒤 '성북동 별서'라는 명칭으로 재지정한 바 있다.

거창 수승대
거창 수승대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조사에서 유래가 새롭게 규명된 또 다른 곳으로는 거창 수승대와 담양 식영정이 있다.

수승대는 퇴계 이황이 지은 시 '기제수승대'(寄題搜勝臺)를 근거로 작명했다고 알려졌으나, '수송대'(愁送臺)가 본래 이름으로 확인됐다.

수송대에는 삼국시대에 신라와 백제 사신이 송별할 때마다 근심을 이기지 못했다는 설과 뛰어난 경치가 근심을 잊게 한다는 설이 전한다. 조선시대에는 수승대와 수송대, 두 명칭을 모두 사용했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은 명승 명칭을 수승대에서 수송대로 변경하기로 했다.

식영정은 서하당 김성원이 석천 임억령을 위해 지은 정자라고 설명돼 왔으나, 실제로는 김성원이 정자를 세웠고 그의 장인 임억령이 '식영'(息影)이라는 이름을 지어준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을 만든 사람 혹은 소유자가 밝혀진 곳은 백석동천, 예천 선몽대, 구미 채미정이다.

종로구 부암동 백석동천은 소유자가 분명하지 않아 여러 설이 난립해 왔으나, 대대로 서울에 살며 벼슬을 한 경화세족 출신 애사 홍우길이 19세기에 백석동천 일대 백석실(白石室)을 보유했음이 드러났다.

또 선몽대 설립자는 우암 이열도가 아니라 그의 부친인 이굉이며, 야은 길재를 모시기 위해 지은 정자라고만 알려진 채미정은 1768년 선산부사 민백종이 지역 유림과 뜻을 모아 건립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서울 백석동천
서울 백석동천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순천 초연정 원림과 예천 초간정 원림은 건물을 다시 짓는 중수와 관련된 사실이 파악됐다.

초연정 원림은 청류헌 조진충이 1836년 초가로 지은 뒤 그의 아들 만회 조재호가 1864년 기와지붕으로 중건했다.

초간정 원림은 초간 권문해가 1582년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됐다. 죽소 권별이 1626년 중수한 건물도 불에 탔고, 이후 후손 권봉의가 1741년 현재 자리에 중수했다.

아울러 문화재청은 성북동 별서와 관련해 국가문화유산포털에 나오는 '육교시사(六橋詩社) 시회(詩會)가 열리기도 했으며'라는 구절의 사실 여부가 명확하지 않아 삭제하기로 했다.

문화재청은 이 같은 역사성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명승 별서정원의 고시문과 국가문화유산포털 내용을 수정하고, 거창 수승대는 30일간 지정 명칭 변경과 관련해 각계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또 이번에 조사 결과가 발표된 11곳 이외에 나머지 명승 별서정원 11곳에 대해서도 역사성 고증 작업을 벌일 방침이다.

psh59@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