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댓글

작년 수입물가 17.6%↑ 수출물가 14.3%↑…13년만에 최고 상승률

송고시간2022-01-13 06:00

댓글

유가 약세에 12월 수출·수입물가는 2개월 연속 하락

컨테이너 쌓인 부산항
컨테이너 쌓인 부산항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유아 기자 = 지난해 수출·수입물가지수가 1년전보다 15% 안팎 뛰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만 12월 수출·수입물가는 최근 국제 유가 흐름에 따라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 수준 100) 통계에 따르면 2021년 1∼12월 수입물가지수의 평균값은 117.46으로, 2020년(99.85)보다 17.6% 상승했다.

수출물가지수 평균값은 94.74에서 108.29로 14.3% 올랐다.

이런 수입·수출물가지수 평균 상승률은 2008년(평균 각 36.2%, 21.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수 자체만 봐도 7∼8년래 최고치다. 지난해 수입물가지수 평균값은 2014년(118.10) 이후 7년 만에, 수출물가지수 평균값은 2013년(112.20) 이후 8년 만에 최고 기록이었다.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 최진만 팀장은 "2020년에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출물가와 수입물가 등락률은 모두 마이너스를 나타냈고, 2021년 들어서는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작년 12월 기준 수입물가지수는 127.11로, 11월(129.63)보다 1.9% 하락했다.

[그래픽] 수출입물가 추이
[그래픽] 수출입물가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수입물가지수 용도별 분류 등락률
수입물가지수 용도별 분류 등락률

[한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월과 비교하면 두 달 연속 하락이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29.7% 높은 수준이다.

전월 대비 변동률을 품목별로 보면 원재료 중 광산품(-4.6%), 중간재 중 석탄·석유제품(-5.6%), 제1차 금속제품(-1.3%) 등이 떨어졌다.

한은은 "두바이유의 월평균 가격이 11월 80.30달러에서 12월 73.21달러로 하락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12월 수출물가지수도 1.0% 하락하며 114.64를 나타냈다. 1년 전보다는 23.5%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전월 대비 1.7% 올랐지만, 공산품 중 석탄·석유제품(-5.3%), 화학제품(-1.7%) 등이 하락했다.

수출물가지수 등락률
수출물가지수 등락률

[한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kua@yna.co.kr

핫뉴스

더보기
    /

    댓글 많은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