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사흘째 칩거에 애태우는 정의…사퇴 선 그은 沈 "큰 걱정 말라"

송고시간2022-01-14 11:28

심상정, 여영국과 통화서 "백지에 그림 그린다는 심정으로 숙고 거듭"

'장고' 장기화 관측도…"오늘내일 중 후보 만나야"

(서울=연합뉴스) 강민경 기자 = 정의당 심상정 대선 후보의 칩거가 길어지는 모양새다.

지난 12일 밤 돌연 '숙고'를 선언한 심 후보는 이후 모든 일정을 취소, 14일 현재까지 사흘째 두문불출한 상태다.

정치권에 따르면 전날 오전 일찍 경기도 고양시 자택을 나선 심 후보는 저녁 늦게 복귀한 뒤 이튿날인 현재까지 자택에 머물고 있다.

당 관계자들과는 여전히 연락을 삼가고 있지만 여영국 대표와는 한 차례 통화하며 일각에서 나오는 '사퇴설'에 선을 그은 것으로 확인됐다.

여 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안부 통화는 한 번 있었다"며 "후보께서 모든 걸 내려놓고 백지에 그림을 그린다는 심정으로 숙고를 거듭하고 있다며 '너무 큰 걱정 마시라' 하는 말씀이 있었다"고 전했다.

'심상정 후보님, 힘내세요!'
'심상정 후보님, 힘내세요!'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정의당 심상정 대선후보가 일정을 전면 중단한 지 하루가 지난 14일 경기도 고양시 심 후보의 아파트 앞 도로에 당원이 '심상정 후보님, 힘내세요!'라는 글이 쓰인 플래카드를 내걸었다. 한편 심 후보의 '일정 전면 중단 후 칩거'로 혼란에 빠진 정의당 선대위는 지난 13일 주요 보직자들의 총사퇴를 결의했다. 2022.1.14 srbaek@yna.co.kr

다만 당 지도부는 심 후보의 복귀 시점과 심 후보가 들고 올 '쇄신안'에 대한 예측은 하고 있지 못하는 상태다.

여 대표와 심 후보의 통화에서도 이러한 대화는 오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심 후보의 '장고'가 이번 주말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당 관계자는 "심 후보 본인도 선대위 재구성에 대한 고민 끝에 답을 가져와야 하는 상황 아니냐"며 "주말까지는 현재와 비슷한 상황이 이어지지 않을까 한다"고 전망했다.

다만 심 후보의 '결단'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구조상, 그야말로 진공 상태에 놓인 정의당 지도부는 노심초사하며 심 후보의 조속한 복귀를 바라고 있다.

여 대표는 "지도부도 후보와 함께 성찰의 시간을 가지며 당 안팎의 의견을 경청하고 있다"며 "여러 내용을 함께 종합해 심 후보와 상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자택에 찾아갈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는 "후보 비서실과 상의해 판단할 예정"이라면서도 "오늘내일 중에는 후보를 한 번 만나야 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진교 원내대표는 역시 이날 MBC 라디오에 나와 "오늘 중으로는 연락이 될 거라고 예상한다"며 "후보가 잘 숙고하고 내용을 가지고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반려동물 생애 복지 공약 발표 위해 소통관 들어서는 심상정 후보
반려동물 생애 복지 공약 발표 위해 소통관 들어서는 심상정 후보

정의당 심상정 대선 후보가 지난 1월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반려동물 생애 복지 공약을 발표하기 위해 소통관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런 가운데 지도부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 측이 설 연휴 이전에 양자 TV토론을 하기로 한 데 강하게 반발, '국민의 알 권리 침해'라며 자성을 촉구했다.

대표단과 의원단은 이날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양당의 양자 TV토론 담합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여 대표는 "해도 해도 너무한다. 국민 밥상에 파란 썩은 생선과 빨간 썩은 생선만 올려서 먹으라고 강요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며 "역대 이런 경우가 한 번도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혜영 의원 역시 CBS 라디오에서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뭐라고 생각하시는 건지 정말 환멸이 난다. 반장 선거도 그렇게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쏘아붙였다.

선거운동이 사실상 멈추어버린 상황에서, 심 후보가 복귀한 뒤 곧바로 활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영역을 만들기 위한 움직임으로 보인다.

kmk@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