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댓글

대구간송미술관 첫 삽…2023년 하반기 개관

송고시간2022-01-24 09:59

댓글

운영주체인 간송재단과 3월께 민간위탁 계약

조감도 [대구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조감도 [대구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구=연합뉴스) 류성무 기자 = 대구간송미술관 건립 사업이 본격화된다.

대구시는 25일 수성구 삼덕동 대구미술관 옆 대구간송미술관 예정지에서 기공식을 한다고 24일 밝혔다.

대구간송미술관은 부지 2만4천73㎡, 건축 연면적 7천980㎡,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오는 2023년 7월 준공 예정이다. 국·시비 40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간다.

상설전시실을 비롯해 기획전시실, 미디어아트실, 수장고, 보존처리실, 카페 등 공간을 갖춘다.

대구시는 시의회 동의를 거쳐 오는 3월께 대구간송미술관 운영 주체인 간송재단과 민간위탁 계약을 할 계획이다.

대구간송미술관은 준공 뒤 시범 운영을 거쳐 2023년 하반기 개관할 예정이다.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국·보물 40여 점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개관전시도 선보인다.

간송(澗松) 전형필(全鎣弼.1906-1962,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간송(澗松) 전형필(全鎣弼.1906-1962,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간송미술관은 국내 3대 사립미술관 중 하나로 꼽힌다.

일제 강점기 민족문화 정체성을 지킨 간송 전형필 선생이 사재를 털어 모은 국보 제70호 훈민정음, 미인도(신윤복), 청자상감운학문매병(국보 제68호) 등 역사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문화재 1만 점을 보유하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은 대구간송미술관이 건립되면 연간 45만명(2017년 분석 당시 추정치) 정도의 관람객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생산유발효과 1천124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428억원, 취업 유발효과 714명으로 분석됐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국보급 문화재의 상설 전시로 시민들에 국내 최고 수준의 문화를 향유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tjdan@yna.co.kr

핫뉴스

더보기
    /

    댓글 많은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