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연합시론] 용산공원 임시개방 이전에 철저한 오염정화 이뤄져야

송고시간2022-06-10 14:19

용산공원으로 향하는 발걸음
용산공원으로 향하는 발걸음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대통령 집무실 인근의 용산공원 부지가 일반 국민에게 시범 개방된 10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시민들이 서울 용산공원으로 향하고 있다. 2022.6.10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대통령 집무실 인근의 용산공원 부지가 논란 끝에 10일 문을 열었다. 9월 임시 개방에 앞서 진행되는 열흘간의 시범 개방이다. 대상은 집무실 남측부터 국립중앙박물관 북측 스포츠필드에 이르는 직선거리 약 1.1㎞ 구간으로, 주한미군이 지금까지 반환한 용산기지(63만4천㎡)의 약 16%인 10만㎡에 해당한다. 개방 시간은 오전 9시∼오후 7시까지다. 매일 다섯 차례 2시간 간격으로 500명씩 하루 2천500명의 방문객을 받는다. 투어 참가자는 주요 동선을 따라 걸으며 용산공원 전반에 관한 상세한 해설과 함께 다양한 전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15분마다 선착순 40명에게는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옮겨온 대통령실의 앞뜰을 관람할 기회도 주어진다. 국토교통부는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위해 전동차 6대를 준비했고 현장 안내 부스 5곳 등을 마련해 방문객의 편의를 지원한다. 이번 시범 개방은 용산공원 조성에 대한 국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것으로, 행사장 곳곳에 '경청 우체통'이 설치됐다. 일제의 강점 이후 120년 가까이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됐던 '금단의 땅'이 국민의 품으로 돌아오는 것은 충분히 환영할만한 일이다. 특히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에 이은 용산공원의 개방은 국민과 대통령 간의 거리를 좁히고 권위주의 시대를 청산하는데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그러한 기대 못지않게 우려가 큰 것도 사실이다. 해당 부지가 기름과 중금속에 심하게 오염돼 정화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될 경우 국민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지난해 환경부 조사 결과를 보면 개방 대상 특정 부지에서 맹독성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기준치를 34.8배, 유독성 복합물질인 석유계총탄화수소(TPH)는 23.4배를 초과했다. 발암물질인 크실렌(7.3배)과 벤조피렌(6.3배), 중금속인 비소(39.9배), 구리(5.9배), 납(4.7배), 아연(4.2배)도 기준치를 웃돌았다. 미군 주둔 기간에 기름 유출 사고가 잦았던 탓으로 추정되는데, 야당과 환경단체는 이를 근거로 '졸속 개방'이라 비판한다. 시범이든 임시든 개방에 앞서 환경 정화와 안전성 검증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전문가의 안전성 검토를 바탕으로 충분한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기 때문에 안전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개방되는 부지의 경우 최근까지만 해도 미군 가족과 학생들이 숙소나 학교 등으로 사용했던 곳이고, 공원의 평균적인 이용 형태를 고려했을 때에도 건강에 해롭지 않다는 것이다. 시험 개방과 관련해서는 환경 위해성 우려가 있는 지역을 개방 대상에서 제외하는 동시에 토양과 인체 접촉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는 토사 피복(아스팔트, 보도블록, 잔디 등으로 땅의 표면을 덮는 것)을 진행했다고 강조했다.

용산공원 개방을 둘러싼 논란은 정부가 자초한 측면이 없지 않다. 국토부는 윤석열 대통령이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옮기고 집무실 전면을 공원으로 조성해 임시 개방하겠다고 밝히자 당초에 없던 시범 개방 계획을 서둘러 만들었다. 지난달에는 25일부터 13일간 시범 개방한다고 발표한 지 하루 만에 이를 연기했다. 당시 국토부는 편의시설 등 사전준비 부족을 이유로 내세웠지만, 일각에선 환경 문제 때문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했다. 시범 개방의 인체 유해 우려에 대해서도 "2시간만 체류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했다가 "혼잡도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말을 바꿨다. 야당이나 환경단체가 이런 일련의 과정에 의구심을 표시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본다. 토양오염의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오염된 흙을 말끔히 걷어내는 것이다. 휘발성 유해 물질은 잔디로 덮어도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는 9월 임시 개방이 이뤄지면 약 40만㎡의 용산공원 부지에서 시간제한 없는 관람이 가능해진다. 정부는 그때까지 오염 저감 조치를 시행한다는 계획인데, 3개월도 남지 않은 시점이어서 자칫 정화 작업이 부실하게 이뤄지지 않을지 걱정이다. 정부는 공원의 개방 시점보다는 철저한 정화 작업과 관련 정보의 투명한 공개를 통한 국민의 불안감 해소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