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댓글

부산항 물류 화물연대 파업 이전으로 정상화

송고시간2022-06-17 10:18

댓글

장치율 떨어지고 반출입량 큰 폭 증가…해수부, 안전사고 주의 당부

'화물연대 파업종료' 분주한 부산항
'화물연대 파업종료' 분주한 부산항

(부산=연합뉴스) 강덕철 기자 = 화물연대가 정부와의 협상 타결 후 업무에 복귀한 지난 15일 오전 부산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를 실은 화물차들로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2.6.15 kangdcc@yna.co.kr

(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 국내 최대 무역항인 부산항의 물류 상황이 화물연대 파업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부산항만공사 등에 따르면 화물연대가 파업을 철회하고 현장에 복귀한 15일 오후 4시부터 다음 날 오전 10시까지 부산항 10개 터미널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4만4천337 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같은 시간대와 비교하면 1만4천여 TEU 늘어났고, 전날과 비교해도 50%가량 증가한 수치다.

그동안 터미널 외부와 부두 내 쌓여 있던 화물이 한꺼번에 반출입되면서 부두 장치율도 하락했다.

16일 오후 6시 기준 부산항 터미널의 평균 장치율은 76.5%로 전날보다 2.6%포인트 낮아졌다.

화물연대 파업 기간 부산항 북항 일부 부두에서는 장치율이 90%를 넘어가면서 선적과 반출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통상 장치율이 70% 정도 될 때 부두가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된다.

해양수산부는 항만 혼잡도가 높은 상황에서 무리한 작업 요구로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된다며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를 당부하는 공문을 터미널 운영사에 보내기도 했다.

한편 올해 4월 중 부산항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수출입과 환적이 각각 1.6%, 6.6% 줄어들면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주요 도시 봉쇄에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중국과 러시아지역 물동량이 작년 같은 달보다 13.7%와 33.7% 줄어든 탓이다.

pcs@yna.co.kr

핫뉴스

더보기
    /

    댓글 많은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