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기후변화, 한반도에도 악영향…글로벌 협력 필요"

송고시간2022-07-22 18:00

인천국제해양포럼서 토론하는 해양환경 전문가들
인천국제해양포럼서 토론하는 해양환경 전문가들

[촬영 김상연]

(인천=연합뉴스) 김상연 기자 = 해양환경 전문가들은 22일 극지·대양과 한반도의 기후 변화에 따른 환경 변화 위기를 진단하며 글로벌 협력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성호 극지연구소장은 이날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제3회 인천국제해양포럼 정규 세션5에서 "극지의 환경 변화는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기후 변화 위기와 청색 경제 기회가 공존하는 극지에서 한국의 역할을 고민해보자"고 제안했다.

김용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한반도 주변 해역은 기후 변화로 인한 재해에 가장 취약하다는 분석이 있다"며 "북서 태평양 일대 태풍의 이동 속도는 20%가량 줄었고, 동해는 전 세계 63개 주요 해역 중 수온이 네 번째로 많이 상승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김민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본부장도 "북극의 문제는 냉해와 폭염 등 세계적인 재해 현상과 상호 관계로 얽혀 있다"면서 "영구동토층에 묻힌 사체에 있는 바이러스가 세상에 나오면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전염병에 노출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기후 변화 위기 속에 국가 간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하는 동시에 극지 연구에서 한국의 역할을 확장해야 한다는 조언이 잇따랐다.

김 본부장은 "한국은 북극을 둘러싼 국제적 불안정성에 대응할 수 있는 맷집을 키우고 북극에 관한 역량 강화에 나서야 한다"며 "북극권 국가들과 지속 가능한 협력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원상 극지연구소 전략기획부장은 "남극과 북극의 얼음이 변화할 때 해양과 육상 나아가 한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것이 극지 과학"이라며 "한국은 극지연구소를 축으로 극지 거버넌스 리더 역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패트리샤 밀로스로비치 해양연구과학위원회 원장은 "국가와 지역적인 경계를 없애고 모두가 함께 극지 연구를 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와 정보가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goodluck@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