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장관·보훈처장, 탈북 국군포로 이규일씨 조문(종합)
송고시간2022-08-13 17:58

(서울=연합뉴스) 6·25전쟁 때 북한에 끌려갔다가 57년 만에 탈북한 국군포로 이규일 씨가 지난 8일 별세했다. 향년 89세. 고인의 별세로 이제 국내에 남은 탈북 국군포로는 총 14명이다. 사진은 지난 5월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했던 이규일(가운데) 씨. 2022.8.12 [사단법인 물망초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탈북 국군포로 이규일 씨를 13일 조문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 장관은 유족들을 만나 애도와 감사의 뜻을 표하고, 앞으로도 탈북 국군포로들의 공적에 합당한 예우와 처우를 다 해나갈 것임을 약속했다.
박민식 국가보훈처장도 이날 국군수도병원에 마련된 고인의 빈소를 방문해 윤 대통령의 조화와 애도 메시지를 유가족에게 전달했다.
박 처장은 "윤 대통령께서 국군귀환 용사들에 대해 각별하셨고, 역대 대통령 중 처음으로 이규일 용사를 취임식에 초청하셨다"며 "대통령께서 참으로 각별하고 애틋한 위로의 말씀을 주셨다"고 전했다.
고인은 1950년 12월 17세 나이로 국군에 자원입대해 1951년 2월 강원도 횡성에서 3사단 소속으로 전투 중 중공군에 포로로 붙잡혔다.
1953년 7월 정전협정이 체결된 뒤에도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채 북한에서 살다가 2008년 5월에야 탈북에 성공했다.
고인은 북한에 억류된 국군포로 송환과 국내 탈북 국군포로의 처우 개선 등에 관해 활동하며 2020년 9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주도했다. 지난 2월에는 방한한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과 면담했다.
또 지난 5월 윤 대통령 취임 당시 탈북 국군포로 중 처음으로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받아 참석했다.
지난 8일 향년 89세를 일기로 별세했고, 발인은 14일 오전이며 유해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된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후 지금까지 국군포로 80명이 귀환했고 현재 14명이 생존해 있다.
j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8/13 17:58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