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민주화운동 추모단체 "김순호 경찰국장, 피해자 코스프레"

송고시간2022-09-06 16:53

김 국장 진실규명 신청에 "죄 합리화 위해 자신을 피해자로 둔갑시켜"

의문사 및 김순호 밀정공작 의혹 진실규명 촉구 기자회견
의문사 및 김순호 밀정공작 의혹 진실규명 촉구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6일 오후 서울 중구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앞에서 열린 의문사 및김순호 경찰국장 밀정공작 의혹 진실규명 촉구 기자회견에서 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 단체연대회의 등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2022.9.6 yatoya@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윤철 기자 = 민주화운동 희생자 추모 단체가 '밀정 의혹'을 받는 김순호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을 규탄하며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에 조사를 촉구했다.

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단체 연대회의(추모연대)는 6일 오후 진실화해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 국장이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면서 "자기 죄를 합리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장현일 추모연대 의장은 "어느 순간에는 피해자였을 수 있지만 기꺼이 가해자로 전향해 적극적으로 그 역할을 했던 사람"이라며 "어느 일순간을 떼어 자신을 피해자로 둔갑시키는 역사의 아이러니 앞에 분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국장 대학 동기이자 강제징집 피해자인 이용성(60) 씨는 "김 국장은 피해자에서 국가폭력 가해자로 변신한 공으로 지금의 자리에 올랐다"며 "강제징집 피해자들과 함께 각자의 존안자료를 공개하자고 제안하고 싶다"고 말했다.

추모연대는 "진실은 결국 그의 존안자료에 대한 철저한 검증, 그를 담당한 보안사 관련자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확인될 수밖에 없다"며 진실화해위의 조속한 조사를 요구했다.

이 단체는 지난달 23일 김 국장의 '밀정 의혹'을 밝혀달라며 진실화해위에 진실 규명을 신청했다.

김 국장은 1989년 노동운동단체 인천부천민주노동자회(인노회) 동료들을 밀고하고 그 대가로 경찰 대공요원으로 특채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인노회 활동 전에는 학생운동을 하다 강제징집 된 이후 국군보안사령부(현 군사안보지원사령부)의 녹화사업(사상전향 공작) 대상자로 관리받았다. 이후 프락치(끄나풀)로 활동하면서 대학 서클 동향을 수집해 보고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그는 모두 부인했다.

김 국장은 의혹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최근 자신도 녹화사업 피해자라며 진실화해위에 진실규명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지난달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자신의 존안자료를 공개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때가 있으리라 본다"면서 "제 문제로 이런 갈등이 있어 어떤 방안으로 해결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존안자료는 보안사가 녹화사업 대상자들의 공작 활동을 기록한 문서다.

newsjedi@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