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석 "코로나 재유행 대비 방역조치 효과·영향 분석 필요"
송고시간2022-09-15 16:44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 근거·기준 마련…"방역과 일상 균형 유지"

정기석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이 지난 14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대응 현황 등을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감염병자문위)가 코로나19 방역 조치의 유행억제 효과와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기석 자문위원장은 15일 제5차 회의 모두발언에서 "비의료적 방역 조치로 인한 유행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경제적 효과 및 비용·편익을 분석해 중장기적으로 예측 가능한 방역 조치 매뉴얼,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일상과 경제·사회활동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코로나19의 재유행에 대비해 국내 방역 조치의 유행 억제 효과와 사회·경제적 영향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감염병 확산 및 방역 정책이 미치는 영향을 거시경제 지표, 개인 활동 지표, 위기소통 지표 등 포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영역의 지표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자문위는 지난달에도 정부에 감염병 확산과 방역정책의 영향을 포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회·경제적인 영역까지 관리지표와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 바 있다.
자문위는 이날 화상으로 열린 회의에서 코로나19 유행상황에 대한 평가·전망과 함께 ▲ 사회 대응 방역조치 근거 마련 방안 ▲ 사회·경제 지표 체계 등 분야별 작업반 운영 계획 등을 논의했다.
방역조치에 대한 근거 및 지표 마련은 전 정부와 차별화된 윤석열 정부의 '과학방역' 기조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일례로 대표적인 비의료적 방역 조치로 언급되는 거리두기의 경우 일률적인 거리두기 적용으로 인한 감염 확산 차단 효과, 그로 인한 경제적 피해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문제가 논란이 돼 왔는데 지난 2년 반의 코로나19 기간 동안 쌓인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균형점을 찾겠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다.
또 재유행이 반복되는 상황에서 방역당국이 코로나19 비상 사태에서 벗어나 서서히 일상회복을 준비하겠다는 메세지로도 읽힐 수 있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도 이날 브리핑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의 끝으로 가는 과정을 잘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자문위에서는 방역과 일상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며 유행상황이 빠르게 안정화될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 위원장은 "면역 감소와 신종 변이에 의한 코로나19 재유행 가능성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플루엔자가 동시에 유행할 가능성이 있다"며 "인플루엔자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적극적인 인플루엔자 예방접종과 신속한 항바이러스제 처방 지원 등을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절기 독감 유행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독감 유행기준을 1천명당 5.8명에서 4.9명으로 낮춰 감시를 강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2022∼2023절기 인플루엔자 대응계획을 이날 발표했다.
chomj@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9/15 16:44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