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산업용 전기요금 오를 듯…전력 다소비 기업 부담 커진다(종합)

송고시간2022-09-21 20:01

박일준 산업 2차관 "산업용 요금 차등 적용 기재부와 협의"

농사용 등 전기요금 특례 개편…연료비 조정단가 상한 5→10원 확대 검토

"라이트 켜고 골프치는 게 적절하냐" 언급도…가스요금 인상도 기재부와 협의 중

대한민국 가스안전대상, 축사하는 박일준 차관
대한민국 가스안전대상, 축사하는 박일준 차관

(서울=연합뉴스)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21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9회 대한민국 가스안전대상'에 참석해 축사하고 있다. 2022.9.21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정부가 에너지 다소비 기업이 전기요금을 더 부담하도록 전기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또 농사용 전기 등 각종 전기요금 특례 제도를 개편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기자 간담회에서 "에너지 공급도 중요하지만, 에너지를 많이 쓰는 다소비 구조에 어떤 형태로든지 변화가 필요하다"며 "에너지 다소비 구조를 바꾸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게 가격 시그널"이라고 밝혔다.

박 차관은 "대용량 사용자에 대해 전기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부분을 검토 중"이라며 "변화 폭이나 기간을 어떻게 설정할지 고민하면서 다양하게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고 이 문제를 기획재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산업부는 현 에너지 상황이 심각해 짧은 시간 내에 폭을 늘려 할 수 있지 않나 그런 방향으로 생각하는데 기재부는 물가, 경제 이런 부분을 고민하기에 다각도로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너지 대용량 사용자는 대부분 큰 기업으로 철강과 자동차 분야 등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대기업들의 전기요금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국내 전력 사용에서 산업용 전기 비중이 5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산업용 전기 원가 회수율은 70%가 되지 못하고 있어 저렴하게 공급되고 있다. 이를 두고 외국에서는 한국 정부가 산업계에 보조금을 제공하는 것 아니냐는 문제 제기도 있었다.

박 차관은 "산업부는 현 에너지 상황이 심각해 짧은 시간 내에 폭을 늘려 할 수 있지 않나 그런 방향으로 생각하는데 기재부는 물가, 경제 이런 부분을 고민하기에 다각도로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원가 회수율이 25% 수준인 농사용 전기 등에 대한 특례 제도 개편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불필요한 특례는 통합·철폐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가스안전대상, 축사하는 박일준 차관
대한민국 가스안전대상, 축사하는 박일준 차관

(서울=연합뉴스)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21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9회 대한민국 가스안전대상'에 참석해 축사하고 있다. 2022.9.21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전기요금 중 매 분기 조정하는 연료비 조정단가는 상한 폭을 현 5원에서 10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재 연료비 조정단가 인상 폭인 kWh(킬로와트시)당 5원을 이미 다 인상한 상태여서 추가 인상을 위해서는 상한 규모 확대가 필요하다.

박 차관은 "5원 설정은 너무 낮아 적어도 10원은 돼야 하는 거 아니냐 생각하고 이런 부분을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박 차관은 "이달 말까지 연료비 연동제(조정단가 조정)는 당연히 하겠고 대용량 사용자나 특례 제도에 대해서는 이번 달을 목표로 하되, 그 이후 결정될 수도 있다"며 "가급적 이번 달 같이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에너지 공급과 함께 에너지 소비 절약 중요성도 강조, "골프 인구가 많이 늘었다고 저녁에 라이트 켜고 운동하는 게 스트레스 풀고 나름대로 목적이 있지만 지금 에너지 상황을 생각하면 적절한지 고민해야 한다"고 꼬집기도 했다.

박 차관은 "현 상황에서는 원전 가동을 최대한으로 늘려 한전 부담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며 "원전이 일단 전력 공급 측면에서 싸기 때문에 한전의 적자 부담 해소나 전력 공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전과 가스공사의 부채 비율이 높아 올 연말이면 사채발행 한도를 넘기 때문에 한전법 개정 등을 여당 의원과 협의 중이고 에너지 위기 상황을 고려해 환경부와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자고 원칙적으로 합의한 사실도 소개했다.

박 차관은 "가스요금도 기본적으로 전기요금 조정할 때 같이 검토하고 있다"며 "가스공사 미수금 규모가 매우 크고 부채비율도 올라가 가스요금 부분도 기재부랑 협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kaka@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