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협상에 인권 문제까지…유엔 무대서 충돌한 미국·이란
송고시간2022-09-22 12:13
"인권 이중 잣대" vs "용감한 시위대 편"…핵 이견 평행선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을 놓고 이견을 보여온 미국과 이란이 21일(현지시간) 유엔 무대에서 안보 현안뿐만 아니라 인권 문제에서도 충돌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평가했다.
먼저 포문을 연 것은 세예드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이었다.
라이시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에서 경찰에 구금돼 있다가 사망한 20대 여성 마흐사 아미니(22)의 의문사에 대한 서방의 인권 문제 제기에 대해 "이중 잣대"라고 주장했다.

(뉴욕 AP=연합뉴스)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7차 총회에 참석해 연설하며 드론 공격으로 숨진 카셈 솔레이마니 전 혁명수비대 사령관의 사진을 들고 있다. 2022.09.22
의문사한 아미니는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찰에 구금돼 조사를 받던 도중 지난 16일 사망했고 그 뒤 이에 항의하는 시위가 이란의 주요 도시로 확산했다.
이와 관련해 정권 교체까지 주장하는 시위대와 치안 당국간 충돌로 적어도 최소 7명이 숨졌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라이시 대통령은 연설문을 통해 미국내 이주 아동 학대, 팔레스타인의 고통, 캐나다의 원주민 처우 등 사례를 거론하면서 "몇몇 국가의 이중 잣대가 인권 범죄의 제도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그 뒤 같은 유엔총회장에서 연설한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우리는 기본적인 권리를 지키려고 시위하는 이란의 용감한 시민과 여성들의 편"이라고 말했다.

(뉴욕 유엔본부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7차 유엔총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2.9.22 photo@yna.co.kr
핵 합의(JCPOA) 복원 문제에 대한 양국 정상간 이견도 평행선을 이어갔다.
라이시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교착 상태에 빠진 핵 합의 복원 회담과 관련해 미국의 '제재 부활 방지 보증'이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그들(미국)이 똑같은 이야기를 반복하기만 해서 핵합의 복원에 대한 진정성을 의심하게 된다"며 "보증과 보장 없이 어떻게 미국이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란은 2015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시절 미국 등 서방과 핵 합의에 서명했다. 그러나 3년 뒤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핵합의에서 탈퇴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이와 관련, 바이든 대통령은 핵 합의 복원 의지를 표명하면서도 "이란이 핵무기를 갖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ev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9/22 12:13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