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사이테크+]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 유럽서 1천400~2천900년간 공존"

송고시간2022-10-14 00:00

네덜란드 연구팀 "네안데르탈인 유물 분석, 특정지역 내 공존기간 규명"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가 네안데르탈인(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이 멸종하기 전 프랑스와 스페인 북부에서 1천400~2천900년 간 공존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레이던대 이고르 자코비치 교수팀은 14일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서 프랑스와 스페인 북부에서 발견된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석기 등 유물을 토대로 이 지역에 이들이 등장한 시기와 사라진 시기를 시뮬레이션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네안데르탈인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석기들
네안데르탈인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석기들

프랑스와 스페인 북부에 살던 마지막 네안데르탈인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독특한 돌칼들. 이 지역에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이런 석기들이 등장한 것은 네안데르탈인이 멸종하기 전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 사이에 기술 전파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레이던대 이고르 자코비치 교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최근의 화석 분석 결과들은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유럽에서 네안데르탈인이 멸종하기 전까지 5천~6천 년간 공존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특정 지역에서 두 인류가 얼마나 공존했는지 밝혀줄 증거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프랑스와 스페인 북부의 고대 유적지 17곳에서 발굴된 현생인류 유물 28개와 네안데르탈인 유물 28개를 분석했다.

최신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으로 각 유물의 정확한 제작 연대를 측정하고 이들 지역에서 발굴된 네안데르탈인 유해를 분석한 데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지역에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한 시기와 네안데르탈인이 사라진 시기를 추정했다.

그 결과 연구진이 분석한 네안데르탈인들의 유물이 이 지역에 처음 등장한 시기는 4만4천343~4만4천248년으로 밝혀졌으며 사라진 시기는 3만9천894~3만9천798년 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 유해를 통해 밝혀진 네안데르탈인 멸종 시기는 4만870~4만457년 전이며, 현생인류가 이 지역에 등장한 시기는 4만2천653~4만2천269년 전이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이 프랑스와 스페인 북부에서 1천400~2천900년 동안 공존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그러나 이 결과가 두 인류가 서로 교류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그래픽] 2022 노벨생리의학상 인류 진화 연구 내용
[그래픽] 2022 노벨생리의학상 인류 진화 연구 내용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게놈(유전체) 연구를 통해 인류의 진화에 관한 비밀을 밝혀낸 스웨덴 출신 진화생물학자 스반테 페보(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에게 돌아갔다.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발생지인 아프리카를 떠나 세계 곳곳으로 이주하면서 당시 각 지역에 살던 호미닌(인간의 조상 종족)과 만나고 이들 사이에 유전자 교환이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yoon2@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한편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 간 문화 교류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두 인류가 일정기간 공존했다는 사실은 화석 유물 및 DNA 분석을 통해 이미 확인됐다.

스웨덴 출신 진화유전학자 스반테 페보(67.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 박사는 네안데르탈인 DNA 분석 기술 개발 공로로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으며, 이 기술로 두 인류 간 유전자 교류가 있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그에 따르면 호모 사피엔스는 7만여 년 전 발생지인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이주해 당시 유럽과 중앙아시아에 살던 네안데르탈인과 일정 기간 공존했으며, 이 기간에 두 인류 사이에 유전자 교류가 이루어져 이 지역 주민들의 유전자에는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것이 1~2% 존재한다.

scitech@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