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한국 학생도 다니는 재일 조선학교 지원에 한국 정부 나서야"

송고시간2022-12-15 17:26

해외교포문제연구소 정책포럼서 조선학교 변화와 지원 논의

해외교포문제연구소, '2022 교포정책포럼' 개최
해외교포문제연구소, '2022 교포정책포럼' 개최

해외교포문제연구소는 15일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재일 조선학교 교과서 문제에 대한 소고'를 주제로 '2022 교포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촬영 강성철]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계로 알려진 재일 조선학교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외교포문제연구소(이사장 이구홍)는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재일 조선학교와 교과서 문제에 대한 소고'를 주제로 '2022 교포정책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서 기조 강연자로 나선 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재일동포 차세대의 정체성 유지를 위한 교육 기관이 대부분 조선학교라는 현실적인 부분을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진 교수는 "유치원, 초중고, 대학 등 조선학교는 일본 전역에 90여 개가 있는데 비해 한국계 민족학교는 4개에 불과하다"며 "자녀들의 우리말 교육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조선학교에 다녀야 하는 게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국적의 학생이 다수를 이루고 교사마저도 한국 국적자인 경우가 적지 않을 정도로 변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2022 교포정책포럼'서 재일 조선학교 지원 논의
'2022 교포정책포럼'서 재일 조선학교 지원 논의

해외교포문제연구소는 15일 서울글로벌센터에서 '2022 교포정책포럼'을 열어 재일 조선학교 변화와 한국 정부의 지원에 대해 논의했다. [촬영 강성철]

토론자로 나선 재일 2세인 권용대 해외교포문제연구소 이사는 "한국 국적을 취득한 채 조총련 활동을 펼치는 이들도 있으므로 단순히 한국 국적만으로 구분해서는 안 된다"고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이구홍 이사장은 "일본 내 부족한 한국학교를 늘리기 어려운 현실에서 대안으로 조선학교 활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실태조사를 벌여 공동교육을 모색하거나 문을 닫는 학교를 사들여 세우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이번 행사는 재외동포재단과 재일한국인본국투자협회가 후원했다.

wakaru@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