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자원연 "지난 10월 괴산 지진 원인은 조곡단층대"
송고시간2022-12-20 09:00
"선사시대 중규모 이상 지진 발생"…추가 조사 계획 수립

괴산 지진 주변 선형구조 분포도, 단층노두 위치도, 조곡단층대 내부구조, 미고결 퇴적층 변위 노두 등 전경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지난 10월 충북 괴산에서 발생한 지진은 장연면·불정면 일원에 분포한 조곡단층대가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에 따르면 괴산 지진은 지하 약 12∼14㎞ 지점에서 발생한 서북서-동남동 방향 주향이동(지각판 경계면을 따라 단층이 수평으로 이동) 단층운동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단층운동이 조곡단층대의 일부 지하 면적 또는 소규모 지하 단층에서 외벽 맨 끝 지점이 왼쪽으로 치우친 좌수향 미끄러짐을 일으킨 것으로 분석했다.
또 진앙에서 약 500m 떨어져 있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조곡단층대에 대한 지형 분석 및 지표 지질조사를 벌여 단층 핵과 손상대로 구성된 단층대 노두(지표파열로 단층대가 드러난 부분), 과거 지진에 수반된 지표파열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지표 지질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곡단층의 고(古)지진 지표파열 기록을 토대로 선사시대에 이 지역에서 중규모(규모 5) 이상 지진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고지진 지표파열 기록은 최근 연구를 통해 괴산 인근 청주 외북과 음성 백마령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정밀한 고지진 기록 탐지를 위해 고해상도 지형조사(드론라이다)와 천부지구물리탐사(전기비저항·지표투과레이더탐사), 시추·굴착 등 추가 조사 계획을 수립했다.
또 괴산·속리산 지역 지진을 지속해 감시하기 위해 내년 10곳에 고밀도관측소를 구축할 방침이다.
앞서 연구팀은 괴산 지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10월 29일 발생한 본진(규모 4.1)을 중심으로 12일 동안 144차례 발생한 여진 등을 조사했다.
4곳에 임시지진관측소를 설치해 본진과 최대 규모 전진(규모 3.5)의 단층 면해와 144개 탐지 지진 및 36개 위치결정 지진의 파형 유사도를 분석했다.
지진이 난 곳은 지난 20년간 진앙 10㎞ 이내에서 규모 2.0 이상 지진이 한 번도 일어나지 않은 지역이지만, 1978년 9월 16일 괴산 지진 진앙에서 약 30㎞ 떨어진 지점에서 속리산 지진(규모 5.2)이 발생한 사례가 있어 안정성을 장담하기는 어려운 곳이다.
송석구 KIGAM 지질재해연구본부장은 "최근 괴산 등 전 국토에 걸쳐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것을 볼 때 한반도가 더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며 "최신 과학기술 등을 적용해 지진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junh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2/20 09: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