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파견 北노동자 9명 국내 입국…우크라전에 동요"
송고시간2023-01-25 09:47
대북 소식통 "20대 군인 2명·40∼50대 벌목공 등 서로 지인은 아냐"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박수윤 기자 = 러시아에서 일하던 북한 노동자 9명이 지난해 탈출해 국내에 입국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북 소식통은 25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난해 12월쯤 러시아에서 북한 노동자 9명이 한국에 들어왔다"며 "현재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이들의 신원에 대해 "전원 남성이고 연령은 20∼50대로 다양하다"며 "이 가운데 2명은 군인 신분인 20대"라고 전했다.
이들 가운데 러시아에 파견된 지 오래된 40∼50대 벌목공도 포함돼 있다면서 "한국으로 오는 과정에서 합쳐보니 9명이 됐지만, 나이나 배경은 물론 러시아에서 일하던 현장이 모두 다르고 서로 지인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이들이 탈출을 결심한 계기에 대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면서 동요가 일어 한국에 들어오려고 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최전선인 돈바스(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주를 아우르는 지명) 지역의 재건사업에 파견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탈출을 결심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지난해 10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로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이 전쟁이 치열한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으로 보내질 수 있다는 소식에 대거 도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한편, 통일부와 국가정보원은 이들의 탈북 여부에 관해 확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탈북민 관련 사안은 신변 보호를 위해 확인이 불가하다"고 밝혔고, 국정원 관계자 역시 "탈북민 관련해서는 확인해드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kind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3/01/25 09:47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