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군 사격장 산불 잇따르는데…육상 인력 투입 어렵고 헬기도 제약

송고시간2023-02-26 08:01

지뢰·불발탄 위험에 통행로도 열악…야간에는 작업 중단

(의정부=연합뉴스) 최재훈 기자 = 산불 위험이 큰 봄을 앞두고 경기북부 등 군부대 사격장에서 산불이 잇달아 발생하며 당국의 우려가 크다.

각종 포탄과 중화기가 실제로 발사되는 군부대 사격장 일대는 항상 산불 위험에 노출돼 있다.

2019년 포천 영평사격장 산불
2019년 포천 영평사격장 산불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반 산불과 달리 사격장 산불은 육상 인력 투입이 어렵고, 산불 진화 헬기 운용에도 제약이 있어 한번 발생하면 수일째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군과 지자체, 산림 당국이 머리를 맞대고 대응책을 논의하지만 뾰족한 수는 없는 실정이다.

26일 산림 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20일 경기 포천시 미 8군 종합훈련장 영평사격장(로드리게스)에서 산불이 났다.

불이 민가까지 번지지는 않아 큰 피해는 없었지만, 불길을 잡는 데 만 24시간이 걸렸다.

이틀 후인 22일에는 양주 광적면에 있는 화기 훈련 사격장에서도 산불이 났으며 같은 달 15일에는 강원 화천군 군부대 사격장에서도 연막탄 사격 훈련 중 산불이 발생했다.

산불을 빠르게 진압하기 위해서는 헬기가 공중에서 물을 뿌리는 동시에 육상 인력이 잔불 진화와 감시를 해야 한다.

산불 진화훈련
산불 진화훈련

[연합뉴스 자료사진]

하지만, 사격장 산불의 경우 육상 인력 투입이 제한된다. 일반적인 산과 비교해도 도로 사정이 열악해 차량이 들어가기 어렵고, 불발탄 등 위협 요소가 있어서다.

대북 접경지에 있는 사격장의 경우 지뢰 위험 때문에 육상 인력 투입이 거의 불가능하다.

지난 9일 파주시 접경지의 미군 사격장에서 산불이 났을 때도 지뢰 위험 때문에 지상 인력이 투입되지 못했다.

산림 당국 관계자는 "헬기로 공중에서 물을 뿌려 불이 꺼지더라도 낙엽 속에 있던 불씨에서 언제든 불길이 다시 일수 있다"며 "지상 인력이 이를 감시하며 잔불을 꺼줘야 빠르게 진화하는데 사격장 화재의 경우 이러한 활동에 제약이 있다"고 설명했다.

산불진화 훈련하는 산림청 헬기
산불진화 훈련하는 산림청 헬기

산불진화 훈련하는 산림청 헬기(산림청 산림항공본부 제공) 전경

2019년 1월 발생한 포천 로드리게스 사격장 화재 때 이러한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당시 미군 공용화기 사격 중에 발생한 예광탄의 파편이 불무산 일대에 튀며 불이 시작됐다.

미군과 산림 당국이 헬기를 동원해 불길을 잡았으나 강풍과 함께 불길이 여러 차례 되살아나며 결국 진화 작업이 나흘째 이어졌다.

소방차와 진화 인력은 사격장 밖에서 대기해야 했고, 밤에는 헬기 투입이 안 돼 불길이 번지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사격장 산불 때 헬기 운영이 핵심인데, 이마저도 제약이 있는 경우가 많다.

산림청은 초대형 헬기 포함 48대의 산불 진화 헬기를 운용 중이다. 각 지자체에도 임차 헬기들이 있어 산불의 규모에 따라 전국 어디든 1시간 내외로 필요한 수의 헬기를 투입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군 사격장의 경우 산림청이나 지자체 헬기 투입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지난 20일 발생한 포천 로드리게스 사격장 화재 때 포천시 임차 헬기와 산림청 헬기 등이 출동 대기했지만 결국 투입되지 않았다. 안전상의 이유로 미군 측 헬기만 투입됐다.

산림청 관계자는 "사격장 내부에 산불 진화용 헬기들이 물을 긷는 인공 호수가 있는데 이곳이 협소해 헬기 여러 대를 운용하기 쉽지 않다"며 "한국 헬기와 미군 헬기 사이 소통 문제도 있고 지휘 체계도 달라 안전상의 이유로 미군 측이 헬기 투입 제한을 요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당시 화재 규모가 그리 크지 않아 상황에 맞게 판단한 것이며 큰불의 경우 미군 관할 지역에라도 산림청 헬기가 투입된다"고 덧붙였다.

2019년 강원도 철원 박격포 훈련장 산불
2019년 강원도 철원 박격포 훈련장 산불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러한 문제점을 가진 사격장 화재에 대해 당국도 경각심을 가져 지자체와 군, 산림청 등 당국이 공조 체계를 만들고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뾰족한 수는 현재까지 없다.

산림청 관계자는 "군 사격장이나 비무장지대 등 접경지 산불 때는 제약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며 "경각심을 가지고 현장 상황에 맞게 최선을 다해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jhch793@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