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분배 개선됐다지만…5가구 중 1가구는 월소득 200만원 못 미쳐

송고시간2023-02-26 06:06

작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월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는 8.5%

고물가에 소득 200만원 미만 가구의 적자 폭 확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작년 4분기 소득 분배 여건이 개선됐지만, 여전히 5가구 가운데 1가구는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가구의 비율은 19.77%였다.

100만원 미만인 가구 비율이 8.50%,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인 가구가 11.27%였다.

지난해 최저임금(시간당 9천160원) 기준 월급은 191만4천440원(209시간 기준)이었다.

작년 4분기 소득 분배가 개선됐지만, 여전히 최저임금 안팎 또는 그 이하로 소득을 얻는 가구가 적지 않은 것이다.

이 기간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년 전보다 6.6% 증가해 소득 상위 20%(5분위) 가구의 증가율(2.9%)의 2배 이상이었다.

그 결과 소득 1분위와 5분위 간의 소득 격차를 보여주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53배로 1년 전보다 0.18배포인트 줄었다.

가구주 연령별로 보면 소득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평균 61.20세, 소득 100만∼200만원 미만인 가구는 59.16세로 소득 200만∼300만원(51.56세), 소득 400만∼500만원(49.89세) 등 다른 소득 구간보다 연령이 높았다.

가구원 수로는 소득 100만원 미만이 1.31명, 소득 100만∼200만원이 1.53명, 소득 200만∼300만원이 1.77명, 소득 300만∼400만원이 2.08명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가구원 수가 적었다.

소득이 낮을수록, 노인 가구이거나 1인 가구일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다만 소득은 없지만 자산이 많아 저축액 등으로 생계를 꾸려가는 노인 가구의 경우 소득이 낮은 가구로 집계돼, 실제 생계 어려움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가구 비중은 4분기 기준 2019년 24.70%에서 2020년 23.48%, 2021년 21.52%로 점점 줄고 있다.

[그래픽] 소득 5분위별 월평균 소득
[그래픽] 소득 5분위별 월평균 소득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지난해 4분기 하위 20%(이하 1분위)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상위 20%(이하 소득 5분위) 고소득층의 2배 이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지난해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작년 4분기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월평균 60만9천90원의 적자 살림을 했다.

소비지출이 109만2천429원으로 처분가능소득(48만3천339원)을 웃돈 결과다.

소득 100만∼200만원 미만인 가구도 처분가능소득이 129만3천9원, 소비지출이 145만5천341원으로 16만2천333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1년 전인 2021년 4분기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는 58만1천851원, 소득 100만∼200만원 미만 가구는 3만8천900원의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고물가에 소비 지출이 늘면서 적자 폭이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소득 1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소비 지출은 1년 전보다 3.7%, 소득 100만∼200만원 미만인 가구는 9.2% 각각 늘었다.

encounter24@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