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KAIST, 표적단백질 '시캠1' 발굴…새로운 암 면역치료법 제시

송고시간2023-03-06 16:19

"암세포 제거 저해하는 '조절 T세포'만 골라 없애"

연구 모식도
연구 모식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종양 내 존재하면서 면역세포의 암세포 제거 능력을 저해하는 기능의 '조절 T세포'만을 골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 단백질이 발굴됐다.

6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 내 존재하는 조절 T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 단백질인 시캠1(CEACAM1)을 찾아냈다.

공동연구팀은 신장암 환자에게 얻은 조직·혈액을 분석해 CEACAM1이 혈액에 존재하는 조절 T세포에는 발현되지 않지만, 종양 내 조절 T세포에서만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양상은 신장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암종에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결과를 토대로 CEACAM1을 발현시키는 종양 내 조절 T세포가 항종양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주된 세포임을 밝혔다.

이 세포의 세부적인 특성을 파악해 선택적으로 제거하거나, 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 전략을 세우면 항암치료·면역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했다.

박수형 교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제어하는 치료는 많은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이지만 아직 이를 이용한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발굴한 CEACAM1이 종양 내 조절 T세포의 제거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junho@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