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체계 열악한 인천…'공공의대' 설립 요구 잇따라
송고시간2023-04-01 08:30
(인천=연합뉴스) 김상연 기자 = 각종 지표를 통해 의료 체계의 열악함이 드러난 인천에서 공공의대 설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일 국립대 법인 인천대에 따르면 국립병원 인천의료원, 인천평화복지연대,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11개 기관·단체가 모여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범시민 기구 출범을 준비 중이다.
인천대는 오는 5월까지 참여 기관과 단체를 늘려 '범시민 협의회'를 정식 출범한 뒤 본격적인 활동에 나설 방침이다.
최근 인천에서는 의과대학 확충과 공공 의료 서비스 강화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공공의대' 설립 필요성에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지난 2월 말까지 공공의대 설립을 요구하는 시민 서명 운동에는 14만5천507명이 참여했으며, 관련 토론회나 캠페인도 지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앞서 정치권에서는 김교흥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인천대 의대 설립과 지원 근거를 담은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인천시교육청과 연수구는 인천대와 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고 지역 구의회도 공공의대 설립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힘을 실었다.
인천대는 공공의대 설립을 통해 각종 감염병 유입에 대한 초기 대응력 강화와 공중 보건 서비스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지난해 엠폭스(원숭이두창) 관련 국내 첫 환자가 발생한 곳이 인천인 점을 고려할 때 공공의대가 설립되면 대한민국 관문인 인천의 감염병 유입 대응 역량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의 열악한 의료 체계는 다양한 지표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7대 특별시·광역시 중 인천 관내 의과대학은 2개, 정원은 89명으로 집계됐다.
인천 인구의 절반가량인 광주는 의대 2개, 정원 250명이었고 인천보다 인구수가 40만명가량 적은 대구는 의대 4개, 정원 302명이었다.
인천은 전체 인구 대비 의대 정원 수 비율이 주요 도시 중 가장 낮았다. 그만큼 지역 의료계는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심지어 2020년 기준 인천 인구는 294만명으로 특별시·광역시 중 3번째이지만, 인구 1천명당 의사 수는 2.5명에 불과해 울산(2.4명)에 이어 최저 수준이었다.
2019년 기준 공공의료기관 병상 수는 전체 의료기관의 4.5%로 전국 평균인 5.5%를 밑도는 등 공공의료 체계도 열악한 상황이다.
인천대 관계자는 "우수한 지역 의료 인력 양성과 감염병 연구에 공공의대가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앞으로 범시민 기구 활동과 함께 정부 부처와 협의를 강화해 공공의대 설립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goodluc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3/04/01 08:3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