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첨단산업분야 기업 10곳 중 7곳 "투자자금 확보율 60% 미만"

송고시간2023-04-02 12:04

대한상의, 첨단업종 기업 110곳 자금사정 조사 결과

투자 늘릴 시기인데…기업 40% "자금조달 여건도 작년보다 악화"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분야 기업들이 투자 확대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자금 사정이 여의치 않아 곤란을 겪는 만큼 적기 투자를 위해 자금 사정 개선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최근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등 첨단전략산업에 속한 기업 110곳의 자금 사정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 10곳 중 7곳(70%)은 필요 투자자금의 60%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27.3%는 투자 집행에 필요한 자금 규모 대비 현재의 자금 확보 비율이 40∼60%라고 답했다.

기업의 21.8%와 20.9%는 각각 투자자금 확보율이 20% 미만, 20∼40%라고 답했다.

투자자금 확보 비율이 40%에도 못 미치는 첨단분야 기업이 10곳 중 4곳(42.7%)인 셈이다.

작년보다 전반적인 자금 사정이 악화했다는 기업(매우 악화 5.5%, 악화 30%)은 호전됐다는 기업(매우 호전 1.8%, 호전 14.5%)보다 배 이상 많았다.

첨단산업분야 기업의 자금사정
첨단산업분야 기업의 자금사정

[대한상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제는 이들 기업이 해당 업종의 성장성과 국내외 시장 상황을 감안했을 때 지금은 투자를 확대해야 하는 시기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바람직한 투자 방향성을 묻자 시설투자(60%), R&D투자(72.7%), 인력투자(64.5%) 등 모든 분야에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종전 수준 유지나 축소보다 월등히 많았다.

대한상의는 "첨단산업 분야는 시장 선점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조 단위 규모의 시설투자가 지속해서 필요하지만, 현실은 글로벌 경기 부진에 따른 수익성 악화와 자금조달 여건 악화로 많은 기업이 선뜻 투자에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단으로 지정된 용인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단으로 지정된 용인

[연합뉴스 자료사진]

실제로 작년보다 전반적인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했다고 응답한 기업(매우 악화 7.3%, 악화 32.7%)은 호전됐다고 답한 기업(매우 호전 0%, 호전 14.5%)보다 많았다.

기업들이 꼽은 자금조달 관련 애로(복수응답)는 직접금융 분야의 경우 고금리 시장 상황과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회사채 발행 어려움(66.3%), 투자심리 위축 등 주식시장 침체에 따른 주식발행 어려움(41.8%) 등의 순이었다.

간접금융 분야에서는 대출 고금리(70.9%), 대출한도 축소(37.3%), 엄격한 대출 심사(22.7%), 담보물·보증인 부족(18.2%)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 성장과 국내 투자 견인을 위해 유익한 정부 정책(복수응답)으로는 투자세액 공제(57.3%), 국가 보조금(51.8%), 인프라 구축 지원(45.5%), 신속한 인허가 처리 지원(35.5%) 등을 차례로 꼽았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지난주 국회에서 'K칩스법'이 통과된 것은 너무 다행스럽지만 이와 더불어 투자 이전에 기업의 자금 사정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금융 확대, 보조금 지원 등의 다양한 정책 포트폴리오도 검토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래픽]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 주요 내용
[그래픽]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 주요 내용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정부가 경기도 용인을 국가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해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만들고 지방에도 14개 국가산단을 새로 지정해 반도체·미래차·우주 등 첨단산업을 육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주재한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hanajjang@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