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제보 검색어 입력 영역 열기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내일 총선이면 어느 당에 투표?…민주당 33.1%, 국민의힘 31.2%

송고시간2023-06-07 06:00

연합뉴스·연합뉴스TV 월례 여론조사…한 달전 비해 민주 2.9%p↑, 국민의힘 1.1%p↓

"정권견제 위해 野 다수당 돼야" 49.8% vs "국정운영 힘싣기 위해 與 다수당 돼야" 37.4%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내일이 총선이면 어느 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각각 찍겠다는 응답이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한 접전을 벌이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7일 나왔다.

연합뉴스와 연합뉴스TV가 공동으로 여론조사기관 메트릭스에 의뢰해 지난 3∼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월례 정치여론조사' 결과, 내일이 국회의원 선거일이라면 민주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33.1%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후보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31.2%였다.

격차는 1.9%포인트(p)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3.1%p) 이내였다.

[그래픽] 내년 22대 총선 전망
[그래픽] 내년 22대 총선 전망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yoon2@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직전 조사인 한 달 전(5월 6∼7일)보다 민주당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은 2.9%p 올라갔고 '국민의힘 선택' 응답은 1.1%p 하락했다.

정의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3.3%, 기타 정당 3.1%, 지지정당 없음은 17.3%이었다.

투표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8.3%, 모름·무응답은 3.7%로 각각 조사됐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CG)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CG)

[연합뉴스TV 제공]

연령대별로 보면 민주당은 60대 이상을 제외한 연령층에서, 국민의힘은 60대 이상에서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민주당은 18세~20대(27.3%대 16.2%), 30대(33.8%대 24.1%), 40대(48.5% 대 17.0%), 50대(42.5%대 25.9%)에서 국민의힘에 우위를 보였다.

60대 이상에서는 국민의힘이 54.3%로 민주당(20.8%)에 두 배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한 달 전과 비교해보면 민주당은 40대(5.1%p↑)를 중심으로 지지율이 상승했다. 지지율이 떨어진 연령대는 없었다.

국민의힘은 30대에서 3.4%p 높아졌지만 20대에서는 2.7%p 내렸다.

권역별로 보면 민주당은 인천·경기(36.6% 대 29.4%), 광주·전라(50.0% 대 12.2%)에서 국민의힘에 비해 우세했다.

국민의힘은 대전·세종·충청(35.8% 대 28.4%), 대구·경북(47.4% 대 16.9%)에서 강세를 보였다.

서울(민주당 31.5% 국민의힘 31.1%), 부산·울산·경남(국민의힘 34.9% 민주당 32.9%), 강원·제주(국민의힘 26.8% 민주당 24.4%)에서는 양당이 접전이었다.

한 달 전과 비교해보면 민주당은 부산·울산·경남 지지율을 7.4%p 끌어올렸고 강원·제주에서도 7.3%p 올랐다. 4.2%p 하락한 대구·경북을 제외하고는 모든 지역에서 지지율이 상승했다.

국민의힘은 대전·세종·충청에서 4.7%p 올랐다. 강원·제주에서는 17.1%p 떨어졌고 서울은 6.7%p 내렸다.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내년 4월 총선과 관련, 바람직한 국회 구성에 대해 '정권에 대한 견제를 위해 야당이 다수당이 돼야 한다'는 응답은 49.8%, '국정운영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여당이 다수당이 돼야 한다'는 응답은 37.4%였다.

정권견제론이 국정안정론보다 12.4%p 높았다.

모름·무응답은 12.8%로 나타났다.

조사 문항에 차이가 있어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한 달 전 조사(모름·무응답 이외에 '상관없음' 응답도 조사)의 경우 정권 견제를 위해 야당이 다수당이 돼야 한다는 응답이 34.5%, 국정운영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여당이 다수당이 돼야 한다는 비율은 32.3%로 오차범위 내 접전이었다.

이번 조사는 무선 전화면접 100%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20.5%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jsy@yna.co.kr

핫뉴스

더보기
    /

    오래 머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더보기

    리빙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