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서 백제 한성기 '대형 고분군' 발견…유력 지방세력 존재
송고시간2023-03-22 16:45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3/03/22 16:45 송고
송고시간2023-03-22 16:45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3/03/22 16:45 송고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이 뉴스 공유하기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박연서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책임연구원이 22일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 확인 현장에서 석곽묘에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3.22 kjhpress@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박연서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책임연구원이 22일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 확인 현장에서 석곽묘에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3.22 kjhpress@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3.22 kjhpress@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3.22 kjhpress@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3.22 kjhpress@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박연서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책임연구원이 22일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 확인 현장에서 출토된 유물을 설명하고 있다. 2023.3.22 kjhpress@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3.22 kjhpress@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3.22 kjhpress@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문화재청이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무덤은 해발 약 109m 높이의 구릉에 있으며 무덤으로 이어질 것으로 추정되는 진입로, 집터, 제단 흔적 등 40여 기의 유구(遺構·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자취) 등이 함께 발견됐다. 사진은 금제 가는고리 귀걸이가 출토된 1호분 8호 석곽 모습. 2023.3.22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3.22 kjhpress@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3.22 kjhpress@yna.co.kr (끝)
세종에서 확인된 고분군 모습 (서울=연합뉴스)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1호분과 2∼5호분 전경. 2023.3.22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1호분 내 6호 석곽에서 출토된 유물 모습. 2023.3.22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2021년 7월부터 세종 스마트그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거대한 다곽식 적석분(積石墳) 형태의 고분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1호분 내 6호 석곽 유물 부장칸 모습. 2023.3.22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